티스토리 뷰
안녕하세요.
수출입을 진행할때는 물건이 언제 항구에 도착하는지, 언제 출항하는지 일정을 아는것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관련 제반 업무들이 많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수출업무를 진행할 때,12월21일이 출항일이라고 하면 선사(배를 가지고 있는 회사)는 어떠한 물품들이 실려있는지 미리 알 수 있는 여러 서류들도 필요하고 이러한 서류들을 중구난방으로 받을 수 없으니 마감기한을 정해서 받아야 하며,
컨테이너를 배에 싣기 위해서는 출항 전에 CY라고 불리우는 컨테이너야적장에 물건을 실은 컨테이너를 마감기한에 맞춰서 미리 보관해 두어야 합니다.
이처럼, 배가 한번 출항 하기 위해서는 스케쥴 관리가 필수적이고 이를 지키지 않으면 계획대로 물건을 배에 실어 보낼 수가 없습니다.
해상으로 물건을 수출할 시에는 개별 박스 포장으로 하나하나씩 물건을 싣는게 아니라 컨테이너 단위로 물건을 실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시 수천 수만톤의 물건을 일일이 컨트롤 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컨테이너를 보관하는 장소, 지칭 용어는 굉장히 많은데 기본적인 용어를 우선 알아보겠습니다.
-FCL (Full Container Load) : 컨테이너 1개를 채운 컨테이너
-LCL (Less than Container Load) : 컨테이너 1개가 안되는 소량 화물 (컨테이너 1대 분이 안되는 중량/부피 의 화물을 모아서 싣는것입니다. 다른 회사의 화물들과 섞여서 나갑니다.
-FFU (Forty Foot Equivalent Unit) : 40ft 컨테이너 단위
-TEU (Twenty Foot Equivalent Unit) : 20ft 컨테이너 단위
-CY : 컨테이너 야적장 (물품을 실은 컨테이너들을 선적 전에 모아두는 장소)
-CFS : CY 내 컨테이너 화물 적입, 적출 작업장
-R/T (Revenue Ton) : 운임적용톤
CFS와 CY를 헷갈리기도 하고, FCL과 LCL을 구분을 못해 무역계약시 선적 조건을 잘못 기입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어느 상황이건 문제가 발생 될 소지가 있기 때문에 용어를 정확히 파악 해야 합니다.
'중동 > 무역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역 /수출입용아] 선적 포워딩 비용 관련용어 (0) | 2017.12.24 |
---|---|
[무역/수출입용어] 선적서류관련용어(3) (0) | 2017.12.22 |
[무역/수출입용어] 선적관련용어 (0) | 2017.12.20 |
[무역/수출입용어정리] 수입대금결제 -T/T 전신환송금 (0) | 2017.12.19 |
[무역/수출입용어정리] 신용장(L/C)란? (0) | 2017.12.18 |
- Total
- Today
- Yesterday
- 영문이메일
- 신용장개설방법
- 신용장
- 신용장개설
- 오늘의추천주
- 포워딩
- 개설은행
- 오늘뉴스
- 경제
- 뉴스리뷰
- 주식용어
- 무역
- 추천주식
- 주식추천
- 해외영업
- 주식
- 종목추천
- 주식종목추천
- 아랍동향
- 신용장개념
- 아랍뉴스
- 한화투자증권
- 매입은행
- 무역영어
- 뉴스요약
- 추천종목
- 최신뉴스
- 삼성바이오로직스
- 해상운임
- 최신시사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